보건복지부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(http://www.w4c.go.kr)
전국의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하고, 투명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이 있습니다. 바로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‘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(W4C)’입니다. 이 시스템은 복지시설 종사자와 운영자, 그리고 일반 국민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활용도가 높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의 주요 기능과 이용 방법을 소개합니다.
💡추천 정보💡
▼ 아래 정보도 함께 확인해보세요.
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나라배움터 (e-learning.nhi.go.kr/)
장애인식개선 이러닝센터 (www.able-edu.or.kr/elearning)
국가 평생교육진흥원 홈페이지 (www.nile.or.kr/)
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이란?
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은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운영하는 공식 웹사이트로, 전국의 사회복지시설 관련 정보 제공 및 행정업무 지원을 위한 통합 시스템입니다.
‘W4C’라는 이름은 Welfare for Citizen(시민을 위한 복지)을 의미하며, 시설운영, 정보공시, 통계 제공, 종사자 구인, 입소자 모집 등 복지 분야의 핵심 정보를 제공합니다.
2025년 1월부터는 '희망이음' 시스템으로 회계·인사 업무가 이관되었으며, 현재는 ‘W4C’는 주로 정보 열람용으로 활용됩니다.
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주요 기능
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은 복지 관련 실무자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도 참고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.
- 시설현황 조회: 지역별, 유형별 사회복지시설 목록과 운영정보 확인 가능
- 입소자 모집 정보: 아동, 노인, 장애인 시설 등에서의 입소 가능 현황을 실시간 제공
- 종사자 구인 게시판: 사회복지시설의 채용공고를 한눈에 확인 가능
- 정보공시: 복지시설의 예·결산 내역, 인사 현황 등 투명하게 공개
- 복지지도: 위치 기반으로 복지기관을 찾을 수 있는 검색 서비스
- 교육신청: 복지 관련 업무자 대상의 시스템 교육 신청 및 일정 확인
또한 시스템 이용과 관련한 공지사항, 업데이트 안내, 법령 정보 등도 함께 제공되어 실무자가 참고하기에 적합한 구조입니다.
시스템 전환 및 이용 방법
2025년 1월부로 ‘희망이음’이라는 통합 시스템이 새롭게 개통되면서,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(W4C)은 회계·인사 기능이 종료되고 조회 위주로 서비스가 개편되었습니다.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점을 참고해야 합니다.
- 조회 중심 사용: 기존에 등록된 시설 정보나 공시 자료, 과거 통계 자료는 열람 용도로 계속 사용 가능
- 새로운 업무는 희망이음으로 이관: 시설 운영, 회계, 인사 업무 등은 희망이음에서 처리
- 공동인증서 또는 디지털원패스로 로그인: 보안 강화를 위해 로그인 방식이 제한되어 있으며, 기관 사용자 등록이 필요
초기 사용자나 일반인은 ‘처음 오셨나요?’ 메뉴에서 상세한 사용 안내와 절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고객 지원 및 상담 서비스
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은 다양한 분야별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어 문의 사항이 있을 경우 전화 또는 온라인으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.
- 복지시설 전용 상담: 1566-3232 → 3번 → 1번
- 사례관리 전용 상담: 1566-3232 → 3번 → 3번
- 장기요양 관련 상담: 1566-3232 → 3번 → 2번
- 운영 시간: 평일 09:00~18:00 / 토·일·공휴일 휴무
또한, 홈페이지 하단의 '원격지원서비스' 메뉴를 통해 실시간 기술 지원도 제공하고 있어, 시스템 사용 중 오류 발생 시 즉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자주 묻는 질문
Q1.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은 일반인도 이용할 수 있나요?
네, 입소자 모집 현황, 종사자 구인, 복지시설 현황 등은 비회원도 열람할 수 있으며, 일부 기능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.
Q2. 현재 회계나 인사 업무는 어디서 하나요?
2025년부터는 ‘희망이음’ 시스템(https://www.hope.go.kr)에서 통합적으로 처리되고 있으며, W4C는 조회용으로만 운영됩니다.
Q3. 복지시설을 검색하거나 통계를 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?
메인 페이지의 ‘복지지도’ 또는 ‘통계현황’ 메뉴를 통해 지역별·유형별 시설 검색 및 다양한 통계자료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.